MHK서재 상세보기
제 7대 정신건강지킴이 뮤지컬배우 '남경주'를 만나다
작성자 CMS관리자 작성일 2025.07.25 조회수119

About  남경주  (제 7대 정신건강지킴이)


Q1. 안녕하세요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제7대 정신건강지킴이, 뮤지컬 배우 남경주입니다.


Q2. 최근 근황은 어떤가요?

최근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창작 지원 선정작인 뮤지컬 <히든 러브>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이어 오는 가을에는 APEC이 열리는 경주에서 외국 정상과 사절단을 위한 창작 뮤지컬 <THE SHOW 신라> 무대를 준비 중입니다.


Q3. 뮤지컬 배우로서 긴 시간 활동해 오셨는데,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언제인가요?

얼마전 한국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 앤딩>이 2025년 Tony상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비롯해 6관왕을 수상한 일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짧은 60여년의 한국 뮤지컬 역사에 기록 될 획기적인 사건이었고 뮤지컬인의 한사람으로 자랑스러웠던 순간이었습니다. 이번 수상을 계기로 한국 뮤지컬의 위상이 세계적인 수준이라는 것이 증명되었고, 어려운 환경에서도 창작 작업에 도전하는 많은 뮤지컬인들에게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Q4. 무대에 설 때마다 변하지 않는 마음가짐이나 태도가 있으신가요?

제가 맡은 인물을 설득력 있고 살아 숨 쉬는 존재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일상에서 제가 먼저 생명력 넘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마음으로 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연이 없는 기간에도 개인적인 시간을 휴식뿐 아니라 독서, 운동, 훈련 등 정신적으로 활력 넘치는 생산적인 활동들을 꾸준히 하며 늘 새로운 작업을 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Q5. 어떤 순간에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시나요?
배우로서는 우연히 만난 관객이 그때 공연 잘 봤어요. 덕분에 힘든 시기를 견딜 수 있었어요라고 말해줄 때 큰 보람을 느낍니다. 또한 교수로서는, 제가 가르쳤던 제자들이 학교를 졸업한 후 뮤지컬 무대에서 함께 공연하며 자기 몫을 훌륭히 해냈을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낍니다.

Q6.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궁금합니다.

구체적인 계획은 없지만, 박사 과정 수료 후 준비 중인 논문을 하루빨리 마무리하고, 은퇴 전에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좋은 창작 뮤지컬을 한 작품을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또한 우리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며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 개인적인 바람입니다.

About Mental Health

Q7.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정신건강’이란 무엇인가요?

어떤 일을 하든 그 안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의 삶에 만족할 수 있는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이 진정으로 즐거워할 수 있는 일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Q8. 배우라는 직업 특성상 감정의 진폭이 큰데, 정신적으로 힘들었던 시기가 있었나요? 그때는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젊은 시절에는 완벽주의 성향 때문에 공연을 온전히 즐기지 못하고, 정신적으로 예민하고 힘든 시기를 보낸 적이 있습니다. 지금은 인간이 완벽할 수 없다는 존재임을 인정하게 되면서, 실수 하나하나에 연연하지 않고 전체 공연에서 내가 맡은 인물이 살아 숨 쉬고 있는가? 공연에서 내가 과연 역할로서 수행해야 할 일을 충분히 잘 수행하고 있는가? 에 더 초점을 맞추고 집중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무대 위 그 순간에 충실하면서 힘든 시간들을 잘 이겨내고 있습니다.


Q9. 무대 전이나 일상에서 긴장이나 불안을 조절하는 본인만의 방식이 있으신가요?

공연을 업으로 삼은 배우에게 불안과 긴장은 늘 따라다니는 감정입니다. 저는 생활을 단순화하는 방식으로 이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꼭 필요한 만남 외에는 약속을 줄이고, 불필요한 외부 활동을 피하며 저의 생활 방식의 루틴대로 연습실, 극장, 집에서 가족과 함께 하루 하루 연습실, 극장, 집에서 가족과 함께 일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Q10. 정신건강을 위해 평소 실천하고 계시는 습관이나 방법이 있으신가요?

마당에서 차를 마시며 멍하니 시간을 보내기도 하고, 식물에 물을 주거나 독서, 음악 감상, 좋은 영화나 공연을 관람하며 정신적인 휴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Q11. 현재 정신건강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께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신다면?

남과 자신을 비교하지 말고, 유행을 좇지 않으며, 자신만의 개성을 발견하고 스스로를 사랑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여보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남 경 주  ’s Pick!
 
책 추천: 헤르만 헤세 『정원에서 보내는 시간』
추천 이유: 저자가 정원에서 식물을 가꾸며 자연의 섬세한 변화를 느끼고, 자연의 원리를 통해 삶의 지혜와 통찰을 얻게 되는 깊은 울림이 있는 책이라 추천드립니다.

영화 추천: <그린북>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이 영화는, 품위 있는 삶이 인간에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깊이 있게 보여줍니다. 미국에 인종차별이 존재하던 시대의 흑인 피아니스트 돈 셜리 박사가 자신의 백인 운전사 토니 발레롱가에게 인종차별에 맞서는 방법에 대해 폭력으론 절대 이길 수 없어요. 토니 당신이 품위를 지킬 때 비로소 승리 하는 겁니다.고 말하는 장면이 특히 인상 깊었습니다. 또한 사랑 표현에 서툴던 상남자 토니가 자신의 와이프에게 편지를 쓰는 장면에서 셜리가 도움을 주고, 이를 통해 아내가 감동을 받는 장면은 개인적으로도 매우 인상 깊고 따뜻하게 다가왔습니다.


To. 서울시민

서울 시민 여러분
바쁘신 일상 속에서도 틈틈이 다양한 문화 활동을 통해 지친 마음에 활력을 불어넣으시길 바랍니다.

About  남경주  (제 7대 정신건강지킴이)


Q1. 안녕하세요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제7대 정신건강지킴이, 뮤지컬 배우 남경주입니다.


Q2. 최근 근황은 어떤가요?

최근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창작 지원 선정작인 뮤지컬 <히든 러브>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이어 오는 가을에는 APEC이 열리는 경주에서 외국 정상과 사절단을 위한 창작 뮤지컬 <THE SHOW 신라> 무대를 준비 중입니다.


Q3. 뮤지컬 배우로서 긴 시간 활동해 오셨는데,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언제인가요?

얼마전 한국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 앤딩>이 2025년 Tony상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비롯해 6관왕을 수상한 일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짧은 60여년의 한국 뮤지컬 역사에 기록 될 획기적인 사건이었고 뮤지컬인의 한사람으로 자랑스러웠던 순간이었습니다. 이번 수상을 계기로 한국 뮤지컬의 위상이 세계적인 수준이라는 것이 증명되었고, 어려운 환경에서도 창작 작업에 도전하는 많은 뮤지컬인들에게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Q4. 무대에 설 때마다 변하지 않는 마음가짐이나 태도가 있으신가요?

제가 맡은 인물을 설득력 있고 살아 숨 쉬는 존재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일상에서 제가 먼저 생명력 넘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마음으로 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연이 없는 기간에도 개인적인 시간을 휴식뿐 아니라 독서, 운동, 훈련 등 정신적으로 활력 넘치는 생산적인 활동들을 꾸준히 하며 늘 새로운 작업을 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Q5. 어떤 순간에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시나요?
배우로서는 우연히 만난 관객이 그때 공연 잘 봤어요. 덕분에 힘든 시기를 견딜 수 있었어요라고 말해줄 때 큰 보람을 느낍니다. 또한 교수로서는, 제가 가르쳤던 제자들이 학교를 졸업한 후 뮤지컬 무대에서 함께 공연하며 자기 몫을 훌륭히 해냈을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낍니다.

Q6.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궁금합니다.

구체적인 계획은 없지만, 박사 과정 수료 후 준비 중인 논문을 하루빨리 마무리하고, 은퇴 전에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좋은 창작 뮤지컬을 한 작품을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또한 우리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며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 개인적인 바람입니다.

About Mental Health

Q7.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정신건강’이란 무엇인가요?

어떤 일을 하든 그 안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의 삶에 만족할 수 있는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이 진정으로 즐거워할 수 있는 일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Q8. 배우라는 직업 특성상 감정의 진폭이 큰데, 정신적으로 힘들었던 시기가 있었나요? 그때는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젊은 시절에는 완벽주의 성향 때문에 공연을 온전히 즐기지 못하고, 정신적으로 예민하고 힘든 시기를 보낸 적이 있습니다. 지금은 인간이 완벽할 수 없다는 존재임을 인정하게 되면서, 실수 하나하나에 연연하지 않고 전체 공연에서 내가 맡은 인물이 살아 숨 쉬고 있는가? 공연에서 내가 과연 역할로서 수행해야 할 일을 충분히 잘 수행하고 있는가? 에 더 초점을 맞추고 집중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무대 위 그 순간에 충실하면서 힘든 시간들을 잘 이겨내고 있습니다.


Q9. 무대 전이나 일상에서 긴장이나 불안을 조절하는 본인만의 방식이 있으신가요?

공연을 업으로 삼은 배우에게 불안과 긴장은 늘 따라다니는 감정입니다. 저는 생활을 단순화하는 방식으로 이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꼭 필요한 만남 외에는 약속을 줄이고, 불필요한 외부 활동을 피하며 저의 생활 방식의 루틴대로 연습실, 극장, 집에서 가족과 함께 하루 하루 연습실, 극장, 집에서 가족과 함께 일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Q10. 정신건강을 위해 평소 실천하고 계시는 습관이나 방법이 있으신가요?

마당에서 차를 마시며 멍하니 시간을 보내기도 하고, 식물에 물을 주거나 독서, 음악 감상, 좋은 영화나 공연을 관람하며 정신적인 휴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Q11. 현재 정신건강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께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신다면?

남과 자신을 비교하지 말고, 유행을 좇지 않으며, 자신만의 개성을 발견하고 스스로를 사랑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여보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남 경 주  ’s Pick!
 
책 추천: 헤르만 헤세 『정원에서 보내는 시간』
추천 이유: 저자가 정원에서 식물을 가꾸며 자연의 섬세한 변화를 느끼고, 자연의 원리를 통해 삶의 지혜와 통찰을 얻게 되는 깊은 울림이 있는 책이라 추천드립니다.

영화 추천: <그린북>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이 영화는, 품위 있는 삶이 인간에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깊이 있게 보여줍니다. 미국에 인종차별이 존재하던 시대의 흑인 피아니스트 돈 셜리 박사가 자신의 백인 운전사 토니 발레롱가에게 인종차별에 맞서는 방법에 대해 폭력으론 절대 이길 수 없어요. 토니 당신이 품위를 지킬 때 비로소 승리 하는 겁니다.고 말하는 장면이 특히 인상 깊었습니다. 또한 사랑 표현에 서툴던 상남자 토니가 자신의 와이프에게 편지를 쓰는 장면에서 셜리가 도움을 주고, 이를 통해 아내가 감동을 받는 장면은 개인적으로도 매우 인상 깊고 따뜻하게 다가왔습니다.


To. 서울시민

서울 시민 여러분
바쁘신 일상 속에서도 틈틈이 다양한 문화 활동을 통해 지친 마음에 활력을 불어넣으시길 바랍니다.

지킴이명 제 7대 정신건강지킴이 뮤지컬배우 '남경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