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오늘 하루 그만보기
팝업닫기
중지
시작
이전
←
다음
→
/
Quick Menu
TOP
Quick Menu
마이페이지
서비스기관
찾기
마음터치
TOP
마음건강
마음건강+
마음하다
팝업보기
로그인
회원가입
화면크기
화면축소
-
100%
화면확대
+
블루터치
정신건강 정보
스트레스
불안
우울
조울증
정신증
중독
자살
재난
섭식
수면
아동청소년 행동 및 정서
정신건강 자가검진
정신건강 자가검진
정신건강 자가관리
음악과 정신건강
마음서재
마음봄
마음터치
싱크어게인
후기/문의
정신건강 서비스 안내
맞춤형서비스 안내
서비스 기관안내
서비스 기관 지도 검색
심리지원
의료지원
중독지원
주거지원
당사자 및 가족지원
소식알림
공지사항
언론보도
일반정보
이벤트
행사
설문조사
블루터치소개
블루터치
서울시정신건강사업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홈페이지 도우미
전체메뉴열기
전체메뉴
메뉴닫기
HOME
로그인
회원가입
마이페이지
맞춤형서비스안내
정신건강 정보
스트레스
불안
- 불안
- 공황
- 강박
- 외상후스트레스
우울
조울증
- 1형 양극성장애
- 2형 양극성장애
정신증
- 조기정신증
- 정신증
- 조현병
중독
- 알코올
- 인터넷중독
- 게임중독
- 마약
- 도박
- 스마트폰
자살
재난
- 재난
- 트라우마
섭식
수면
아동청소년 행동 및 정서
- ADHD
- 학습장애
- 틱장애
- 자폐
정신건강 자가검진
정신건강 자가검진
정신건강 자가관리
음악과 정신건강
마음서재
마음봄
- 마음봄 소개
- 마음봄 활용방법
마음터치
- 마음터치란
- 마음터치-그린(불안)
- 마음터치-블루(우울)
싱크어게인
- Think again 이란?
- Think again 시작하기
후기/문의
정신건강 서비스 안내
맞춤형서비스 안내
서비스 기관안내
- 전체
- 정신건강복지센터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 정신재활시설
- 자살예방서비스기관
- 서울시심리지원센터
- 자립생활주택/지원주택
- 정신의료기관
- 정신요양시설
서비스 기관 지도 검색
심리지원
- 마음건강검진
-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 마음안심버스
- 생명이음청진기사업
- 이태원 참사 관련 트라우마 회복프로그램
-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 사업
의료지원
- 치료비지원사업
중독지원
-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 회복자상담가지원사업
주거지원
- 자립생활주택 지원사업
- 지원주택 지원사업
당사자 및 가족지원
- 동료지원가 지원사업
- 인권옹호 문화조성 사업
- 당사자 가족지원 사업
소식알림
공지사항
- 공지사항
- 정신건강기관소식
- 수의계약 내역공개
언론보도
일반정보
- 뉴스레터
- 카드뉴스
- 칼럼
이벤트
행사
- 행사캘린더
- 행사 안내
설문조사
블루터치소개
블루터치
- 인사말
- 블루터치
서울시정신건강사업
- 소개
- 연혁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 소개
- 연혁
- 구성도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 소개
- 연혁
- 미션, 비전, 핵심가치
- 사업내용
- 기관방문
홈페이지 도우미
- 메인 구성 안내
- 이용 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웹접근성 품질 마크
- 사이트 맵
마이페이지
자가검진관리
자가관리 프로그램
- 마음터치 그린
- 마음터치 블루
- 싱크어게인
관심정보관리
교육이수내역
내 이력보기
회원정보
도움요청내역
이벤트참여내역
통합검색버튼
통합검색닫기
통합검색결과확인
인기검색어
▶
정신건강서비스
|
자가검진
|
교육일정
|
이벤트
|
정신건강자료
|
블루터치
|
정신건강복지센터
홈
소식알림
언론보도
언론보도
공유 모두 보기 버튼
페이스북 공유 새창열림
카카오톡 공유 새창열림
네이버 공유 새창열림
소식알림
공지사항
공지사항
정신건강기관소식
수의계약 내역공개
언론보도
일반정보
뉴스레터
카드뉴스
칼럼
이벤트
행사
행사캘린더
행사 안내
설문조사
언론보도 상세보기
자살예방 상담전화 "있으나 마나" - 경향신문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6.05.17
조회수
1088
경향신문 2005-03-09
해마다 1만여명이 넘는 국내 자살자를 줄이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전국 126곳
에 운영중인 자실위기 상담전화가 사실상 '불통(不通)'이다. 최근 영화배우 이은주씨 자살사건 이후 자살과 우울증을 호소하는 전화가 쇄도하고 있으나 전담 상담원조차 없는 등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 대부분 상담전화는 토요일 오후부터 일요일 내내, 공휴일에는 아예 연결조차 되지 않고 있다.
◇우울증과 처지비관 전화 쇄도=올 1월부터 자살위기 상담전화(1577-0199)가 운영된 이후 서울시 광역보건센터에는 자살과 우울증을 상담하는 전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월엔 하루 평균 10여통에 불과했으나 이은주씨가 자살한 2월말 이후 하루 80여통으로 증가했다.
춘천 정신보건센터를 비롯한 지자체 시·군 보건소에도 최근 '자살충동'을 느끼고 있다는 호소가 하루 평균 5~6건씩 이르고 있다. 특히 상담전화의 절반 이상이 우울증에 대한 것이며, 90% 이상이 자살까지 생각해봤다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광역보건센터 전준희 팀장은 "2월말 이후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며 "자살자의 80~90%가 우울증을 앓은 후 자살을 하기 때문에 이들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상담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무기력한 자살상담전화=일반적으로 자살상담은 정신과 의사나 일정 자격을 갖춘 정신보건간호사가 맡도록 돼 있다. 그러나 현재 정부와 지자체가 운영중인 자살위기 상담전화는 전담요원 없이 정신보건센터의 사회복지사와 임상심리사 등이 교대로 상담을 맡고 있다. 이들 상담원은 자살상담전화 개통을 앞두고 상담요령이나 방법 등에 대해 사전교육도 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지역의 한 상담원은 "전화받기 전에 필기도구를 지참하고 3번 이상 울리기 전에 전화를 받을 것 등 일반적인 전화통화 요령만 지침으로 내려왔을 뿐"이라고 말했다.
일부 지자체 자살상담전화는 일요일과 공휴일의 경우 아예 전화가 연결되지 않아 상담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경향신문은 지난 6일 오후 경기 수원시 위기상담전화에 연결을 시도했으나 '지금은 외출중이니 용건을 남기라'는 음성 메시지만 반복됐다. 이후 담당자에게 호출을 시도했으나 연결이 되지 않았다. 부산시 자살 위기 상담전화도 이날 '지금은 전화를 받지 않습니다'라는 안내만 되풀이됐다. 그나마 자살위기 전화는 요금도 거는 사람이 부담하게 돼 있다.
남윤영 연세대 교수는 "미국 등 선진국의 '자살상담 핫라인'에서는 전문성을 가진 전담요원이 상담을 맡고 있으며 전화를 거는 사람의 전화번호와 주소 등이 자동으로 입력돼 경찰 등에 의해 자살이 예방되고 있다"면서 "통계적으로 봄철인 4월부터 자살자가 증가하기 때문에 서둘러 체계적인 상담 시스템을 갖추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준기자 jun@kyunghyang.com〉
목록
확인
닫기
안녕하세요^^
블루톡입니다.
무엇을 도와드릴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