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상세보기
[한국일보 기획특집]자살,이제는 막아야 한다<하>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6.09.11 조회수1077
[자살, 이제는 막아야 한다] <하> 예방대책포럼
"응급실부터 상담센터와 연계 사후관리 중요"…정신질환에 대한 편견 깨고 사회적 관심을


한국일보와 서울시광역정신보건센터 공동주최로 7일 저녁 서울 강남구 논현동 서울시광역정신보건센터 대회의실에서 '자살예방 및 자살률감소를 위한 전문가 포럼'이 열려 각계 전문가들이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류효진기자

"종합병원 응급실과 정신과 병원, 자살 상담 센터, 경찰, 소방방재본부를 아우르는 전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자살 예방을 위해 정부와 사회가 적극 나서야 한다."

한국일보와 서울시광역정신보건센터의 공동 주최로 7일 강남구 논현동 서울시광역정신보건센터 대회의실에서 열린 '자살예방 및 자살률 감소를 위한 방안' 포럼에서 참석자들은 자살자 통계 분석 등 '사후 약방문'보다는 ▦자살 시도자에 대한 지속적 적극적 관리 ▦ 자살 예방을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국가시스템 마련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포럼에는 강성동 서울시소방방재본부 구급관리팀장, 김종보 서울지방경찰청 한강경찰대장, 박인철 연세대 응급의학과 교수, 서동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서용진 서울시광역정신보건센터 자문의, 오강섭 한국자살협회 기획이사, 육성필 고려대 자살예방 및 위기상담센터장, 이명수 서울광역정신보건센터장 등 자살문제 전문가들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자살 시도자 사후 관리가 핵심

전문가들은 우선 자살 시도자에 대한 사후 관리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강성동 팀장은 '자살 상담을 받은 937명 중 57%가 과거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고, 이중 30%가 자살을 3번 이상 시도한 사람으로 나타났다'는 한국일보 기사(7일자 9면)를 인용, "이는 자살 시도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만 이뤄져도 자살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박인철 교수는 "자살 시도자를 가장 먼저 접하는 곳이 병원 응급실"이라며 "사후 관리의 첫 걸음은 응급실에서 시작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응급치료를 마친 자살 시도자는 정신과 치료를 받도록 하고 있지만 이중 30%만이 입원이나 외래진료를 통해 관리되는 게 현실"이라며 "지속적인 사후 관리를 위해서는 전문 자살 상담센터와의 연계도 필수"라고 덧붙였다. 김종보 대장은 "자살 시도 신고가 들어오면 병원, 소방서 응급요원 뿐만 아니라 정신보건센터 등 전문 자살상담 기관도 함께 출동해 자살 시도자 구조는 물론 가족들에 대한 사후 관리를 동시에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신질환 보는 눈 바뀌어야

자살 시도자 중 상당수가 우울증,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는 점도 뜨거운 토론 주제가 됐다. 서동우 연구위원은 "관련 기관들이 연대한 사회적 안전망 설치도 중요하지만 자살(시도)자와 그들의 가족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신과를 드나드는 모습을 바라보는 시선이 왜곡돼 있는 상황에서 정신과 진료의 문턱은 높을 수밖에 없다"며 "우울증 등 정신과 질환도 치료 후에는 정상적인 삶이 얼마든지 가능한 만큼 몸이 아픈 다른 질병과 다를 게 없다는 점을 강조하는 교육과 홍보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육성필 센터장도 "국가의 사후 관리 프로그램에는 유가족 지원, 관리 대책까지 포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언론의 책임도 강조됐다. 서용진 자문의는"자살이나 정신과 질환 등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은 언론이 형성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자살 보도에 있어서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 간접적으로 모방자살을 부추겨서는 안되며 자살보도 기준을 마련하는 등 차분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국가 차원의 시스템 구축해야

오강섭 이사는 '궁핍한 생활이 힘들어 자살을 시도한 사람이 병원에 실려와 진료를 받고 보니 기다리고 있는 것은 따뜻한 위로와 상담이 아니라 고액의 진료비 청구서더라'는 일화를 소개하며 자살 예방과 치료에 대한 국가적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들은 대다수가 사회적 경제적 약자"라며 "이런 사람들에게 '사회가 아직도 나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구나'하는 것을 보여 줄 수 있도록 체계적인 사후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명수 센터장은 "'자살률이 높다'고 백번 얘기하는 것보다 우리 사회 전체가 문제 의식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며 ▦지역 사회 기반의 1차 정신보건서비스 체계 강화 ▦생애주기별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 개발 ▦시민들이 자살 예방의 필요성에 관심을 갖고 동참할 방안 강구 등을 제안했다.


강철원기자 strong@hk.co.kr  
정민승기자 msj@hk.co.kr

입력시간 : 2006/09/08 1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