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오늘 하루 그만보기
팝업닫기
중지
시작
이전
←
다음
→
/
마음건강
마음건강+
마음하다
팝업보기
로그인
회원가입
화면크기
화면축소
-
100%
화면확대
+
블루터치
정신건강 정보
스트레스
불안
우울
조울증
정신증
중독
자살
재난
섭식
수면
아동청소년 행동 및 정서
정신건강 자가검진
정신건강 자가검진
정신건강 자가관리
음악과 정신건강
마음서재
마음봄
마음터치
싱크어게인
후기/문의
정신건강 서비스 안내
맞춤형서비스 안내
서비스 기관안내
서비스 기관 지도 검색
심리지원
의료지원
중독지원
주거지원
당사자 및 가족지원
소식알림
공지사항
언론보도
일반정보
이벤트
행사
설문조사
블루터치소개
블루터치
서울시정신건강사업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홈페이지 도우미
통합검색버튼
통합검색닫기
통합검색결과확인
인기검색어
▶
정신건강서비스
|
자가검진
|
교육일정
|
이벤트
|
정신건강자료
|
블루터치
|
정신건강복지센터
전체메뉴열기
전체메뉴
메뉴닫기
HOME
로그인
회원가입
마이페이지
맞춤형서비스안내
정신건강 정보
스트레스
불안
- 불안
- 공황
- 강박
- 외상후스트레스
우울
조울증
- 1형 양극성장애
- 2형 양극성장애
정신증
- 조기정신증
- 정신증
- 조현병
중독
- 알코올
- 인터넷중독
- 게임중독
- 마약
- 도박
- 스마트폰
자살
재난
- 재난
- 트라우마
섭식
수면
아동청소년 행동 및 정서
- ADHD
- 학습장애
- 틱장애
- 자폐
정신건강 자가검진
정신건강 자가검진
정신건강 자가관리
음악과 정신건강
마음서재
마음봄
- 마음봄 소개
- 마음봄 활용방법
마음터치
- 마음터치란
- 마음터치-그린(불안)
- 마음터치-블루(우울)
싱크어게인
- Think again 이란?
- Think again 시작하기
후기/문의
정신건강 서비스 안내
맞춤형서비스 안내
서비스 기관안내
- 전체
- 정신건강복지센터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 정신재활시설
- 자살예방서비스기관
- 심리지원서비스기관
- 자립생활주택/지원주택
- 정신의료기관
- 정신요양시설
서비스 기관 지도 검색
심리지원
- 마음건강검진
-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 마음안심버스
- 생명이음청진기사업
- 이태원 참사 관련 트라우마 회복프로그램
-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 사업
의료지원
- 치료비지원사업
중독지원
-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 회복자상담가지원사업
주거지원
- 자립생활주택 지원사업
- 지원주택 지원사업
당사자 및 가족지원
- 동료지원가 지원사업
- 인권옹호 문화조성 사업
- 당사자 가족지원 사업
소식알림
공지사항
- 공지사항
- 정신건강기관소식
- 수의계약 내역공개
- 안전보건경영방침
언론보도
일반정보
- 뉴스레터
- 카드뉴스
- 칼럼
이벤트
행사
- 행사캘린더
- 행사 안내
설문조사
블루터치소개
블루터치
- 인사말
- 블루터치
서울시정신건강사업
- 소개
- 연혁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 소개
- 연혁
- 구성도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 소개
- 연혁
- 미션, 비전, 핵심가치
- 사업내용
- 기관방문
홈페이지 도우미
- 메인 구성 안내
- 이용 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웹접근성 품질 마크
- 사이트 맵
마이페이지
자가검진관리
자가관리 프로그램
- 마음터치 그린
- 마음터치 블루
- 싱크어게인
관심정보관리
교육이수내역
내 이력보기
회원정보
도움요청내역
이벤트참여내역
홈
소식알림
언론보도
언론보도
공유 모두 보기 버튼
페이스북 공유 새창열림
카카오톡 공유 새창열림
네이버 공유 새창열림
소식알림
공지사항
공지사항
정신건강기관소식
수의계약 내역공개
안전보건경영방침
언론보도
일반정보
뉴스레터
카드뉴스
칼럼
이벤트
행사
행사캘린더
행사 안내
설문조사
언론보도 상세보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5년 동료지원인 양성교육 참여자 모집
작성자
CMS관리자
작성일
2025.04.14
조회수
62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5년 동료지원인 양성교육 참여자 모집
정신질환 당사자의 자립 및 고용을 위한 전문 교육과정 운영
오는 4월 7일(월)부터 17일(목)까지 신청 접수
2025-04-01 08:00
스크랩
인쇄
글자크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이하 서울센터)는 4월 7일(월)부터 17일(목)까지 ‘2025년 동료지원인 양성교육’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동료지원인은 정신질환을 경험하고 회복과정을 거친 당사자로서 상담 및 교육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 양성과정을 수료한 사람이다. 이들은 자신의 회복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정신질환 당사자에게 공감과 지지를 제공하며, 당사자 간의 상호 회복 탄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울센터는 2012년 정신질환 당사자 고용지원을 위해 동료지원인을 포함한 정신질환 특성을 반영한 직무를 개발했다. 이후 2013년부터 양성교육을 통해 동료지원인을 지속적으로 양성해왔으며, 현재까지 총 126명의 동료지원인이 배출됐다. 이들은 서울시 내 정신건강복지센터, 주간재활시설, 당사자 단체, 자립생활주택 및 지원주택 등 다양한 기관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특히 2024년 1월 정신건강복지법이 일부개정되며 제69조의2에 동료지원인 양성 및 활동지원이 신설됐다. 이로 인해 기존의 ‘동료지원가’ 명칭은 ‘동료지원인’으로 변경됐고, 법제화를 통해 동료지원인의 체계적 양성과 지원의 기반이 마련됐으며, 정신건강 회복과정에서 동료지원인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에 서울센터 동료지원인 양성교육은 정신질환 당사자들이 자신의 회복 경험을 나누고, 이를 자원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동료지원 활동을 통해 정신질환 당사자의 자립과 사회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2025년 동료지원인 양성교육은 서울시 정신건강 관련 기관에 등록돼 사례관리를 받고 있는 대상자 중 동료지원활동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서류심사와 면접심사를 통해 20명을 선발하며, 총 100시간(이론 70시간, 실습 30시간)의 교육이 진행된다.
교육은 대면으로 진행되며, 국립정신건강센터 표준교안에 준해 동료지원인의 의미와 역할, 당사자 철학, 동료 상담 기술, 자원 연계 등의 이론교육과 외부기관 실습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서울센터 이승연 부센터장은 “서울센터는 정신질환 당사자들의 자립과 고용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특히 동료지원인 양성교육을 통해 당사자들이 자신의 경험과 역량을 활용해 회복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당사자 중심의 활동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5년 동료지원인 양성교육에 참여를 희망하는 당사자는 신청 서류를 작성해 당사자자립지원팀 이메일(smhc.hs@blutouch.net)로 제출하면 된다. 신청 서류 다운로드 및 자세한 내용은 블루터치 홈페이지(
www.blutouch.net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뉴스와이어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1008449
목록
확인
Quick Menu
TOP
Quick Menu
마이페이지
서비스기관
찾기
마음터치
TOP
닫기
안녕하세요^^
블루톡입니다.
무엇을 도와드릴까요?